세계일보

검색

부동산 가격 급등에 가구당 평균 자산 2년 연속 상승

입력 : 2022-12-01 22:00:00 수정 : 2022-12-01 17:58:0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평균자산 5억5000만원…9% 상승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올해 초까지 이어진 부동산 가격 급등 영향으로 국내 가구의 평균 자산이 2년 연속으로 큰 폭 늘어났다.

 

특히 부동산 시장 침체가 나타나기 전 활황세를 보였던 서울과 세종 가구의 평균 자산이 전국 1·2위를 차지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은 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9.0% 늘어난 5억4772만원이었다.

 

자산 증가율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전년도(12.8%)에 이은 두 번째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5602만원으로 전년 대비 10% 늘었다.

 

자산 증가율이 부채 증가율(4.2%)의 두 배를 웃돌면서 순자산 증가율이 자산 증가율을 앞섰다.

 

가구의 자산 보유액 증가는 주로 집값 상승에 기인했다.

 

전체 자산이 9.0% 증가한 가운데 금융자산(1억2126만원)은 7.1%, 실물자산(4억2646만원)은 9.5% 각각 증가했다.

 

부동산과 전세가격 상승 등으로 실물자산 증가율은 역대 두 번째였고, 금융자산 증가율은 세 번째였다.

 

다만 이는 올해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이 본격화하기 전인 3월 말 기준으로 조사가 이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2022년 조사 결과는 최근 금리상승 및 부동산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현재 체감하는 경기상황과는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2.1%, 실물자산이 77.9%를 차지해 실물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0.4%포인트(p) 증가했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4236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5억9241만원), 60세 이상(5억4372만원), 30대(4억1246만원), 29세 이하(1억3498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또 1년 후 거주 지역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 '변화가 없을 것이다'라고 응답한 가구주가 전체의 37.8%였고, '상승할 것이다' 31.2%, '하락할 것이다' 8.9% 등으로 집계됐다.

 

이어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주는 전년 대비 0.3%p 증가한 58%였고, 가장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아파트(62.5%)를 꼽은 이들이 많았다.

 

2021년 한 해 가구 평균소득은 6414만원으로 조사됐다. 2020년과 비교해 4.7% 증가한 규모다. 처분가능소득은 4.5% 늘어난 5229만원이었다.

 

중앙값에 해당하는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5022만원이었다.

 

※ 제보를 기다립니다. [메일] blondie@segye.com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