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조선 후기 문인인 추사 김정희는 추사체로 불리는 글씨와 그림, 시와 산문으로 유명하지만 뛰어난 금석학자이기도 했다. ‘철종실록’에 기록된 그의 졸기(卒記)에는 “금석문(金石文)과 도사(圖史)에 깊이 통달해 초서·해서·전서·예서에서 참다운 경지를 신기하게 깨달았다”며 “젊은 나이에는 영명(英名)을 드날렸으나 중간에 가화(家禍)를 만나 남쪽으로 귀양가고 북쪽으로 귀양가서 온갖 풍상을 다 겪었으니, 세상에 쓰이고 혹은 버림을 받으며 나아가고 또는 물러갔음을 세상에서 간혹 송나라의 소식(蘇軾)에 견주었다”고 했다. 권력에 밉보여 수난을 당했다는 말이다.

오랜 세월 잊혀졌던 신라 진흥왕의 북한산 순수비를 역사의 전면에 다시 세운 이가 추사다. 1816년 친구 김경연과 북한산 승가사에 갔다가 이 비를 발견해 진흥왕순수비로 확정했다. 그의 시문집 ‘완당전집’에는 “신라 진흥왕순수비는 지금 경도(京都)의 북쪽으로 20리쯤 되는 북한산 승가사 곁의 비봉 위에 있다. … 비문은 모두 12행인데 글자가 모호하여 매행마다 몇 자씩인지를 분별할 수가 없다”고 했다. “비의 좌측에 ‘이는 신라 진흥왕의 순수비인데 병자년(1816년) 7월에 김정희와 김경언이 와서 읽었다. 정축년(1817년) 6월8일에 김정희와 조인영이 와서 남은 글자 68자를 살펴 정했다’고 새겼다”는 구절도 있다.

‘승가사에서 김경연과 함께 해붕화상을 만나다’라는 시에서는 “그늘진 골짝에는 늘 비가 오고/ 가파른 산봉우리는 한송이 구름/ … 이끼 낀 비석 받침은 부질없이 닳아 가는데/ 규전은 누가 다시 새길 건지”라고 했다. 진흥왕순수비의 글자들을 해석하는 일의 어려움을 말해준다.

그는 북한산을 자주 찾았다. 아버지 김노경 등과 함께 북한산을 유람한 뒤 남긴 시집 ‘삼각산기행시축’에는 북한산의 아름다운 경치와 사찰 풍광을 담은 추사 일행의 시 24편이 실려 있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2006년 제주 추사관에 기증한 이 시집을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가 번역본으로 출간해 내달 국립공원공단 누리집에 공개한다. 북한산에 오를 때 200년 전 추사의 자취도 더듬어 볼 일이다.


박완규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