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유니스트, 차세대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0-07-12 13:46:21 수정 : 2020-07-12 13:46:1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기존 수소 촉매 약점 보완 / 1시간 만에 합성…100시간 이상 작동에도 우수 성능
알칼리 용융 금속 층간 삽입법으로 전이금속 칼코젠 화합물을 금속상으로 바꾸는 합성법을 개발한 유니스트 박혜성(왼쪽)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와 박상현 연구원. 유니스트 제공

유니트스(UNIST·울산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저절로 스며드는 액체금속을 이용해 수소 생산을 돕는 차세대 촉매 물질의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니스트는 박혜성·김건태·곽상규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이 ‘알칼리 용융 금속(쇳물과 같은 액체 금속) 층간 삽입법’을 이용해 전이금속 칼코젠 화합물(이하 칼코젠 화합물)을 금속상(1T phase)으로 바꾸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칼코젠 화합물은 텅스텐·몰리브덴 같은 금속 원소와 황 같은 칼코젠 원소가 결합한 물질이다.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좋아 백금을 대신할 ‘물 전기 분해 반응(물로 수소를 생산하는 것)’ 촉매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상온에서는 촉매 성능을 가늠하는 척도의 하나인 ‘전기전도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칼코젠 화합물은 하나의 물질 안에 반도체 성질을 갖는 부분과 금속 성질을 갖는 부분이 공존하는데, 상온에서는 주로 전기전도도가 떨어지는 반도체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금속상을 갖도록 합성하는 방법이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합성된 물질이 다시 반도체상으로 돌아가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가느다란 관 속으로 액체가 저절로 빨려 들어가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모세관 현상으로 액체 알칼리 금속이 칼로겐 화합물 내부로 잘 전달되게 했다. 액체 알칼리 금속은 칼코젠 화합물이 금속상으로 바뀌기 위해 필요한 전자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칼코겐 화합물은 금속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92%로 높았다.

 

이 방법을 사용하자 금속성 칼코제 화합물을 만드는 데 1시간이 걸렸다. 기존에는 48∼72시간이 걸렸다. 

 

특히 새 화합물은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을 보였다. 고열과 강한 빛에도 금속상이 반도체상으로 바뀌지 않고 유지됐다. 

 

연구진은 새 화합물을 실제 물 전기분해 시스템에 적용, 100시간 이상 작동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점을 확인했다.

 

박혜성 교수는 “차세대 수소 발생 촉매로 주목받는 전이금속 칼코젠 화합물의 새로운 합성법을 찾아낸 것”이라며 “이차원 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할 실마리를 제공했을 뿐 아니라 금속상 전이금속 칼코젠 화합물의 특성을 잘 활용해 수소 발생촉매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6일자 온라인에 공개됐다. 연구는 교육부의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견연구자프로그램’ 지원으로 이뤄졌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