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北에서 버림받은 김원봉…“분단의 대표적 희생양”

입력 : 2019-06-07 11:45:41 수정 : 2019-06-09 16:29:1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약산 김원봉. KBS 캡처

 

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식에서 언급한 논란을 불러일으킨 약산 김원봉(1898∼1958)은 걸출한 항일 무장독립 운동가임에도 남·북한 모두에서 환영은커녕 철저히 외면당한 분단의 대표적 희생양이다.

 

김원봉은 일제 강점기 때 의열단장과 조선의용대장, 광복군 부사령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위원 및 군무장으로 활약하며 공을 세웠다.

 

일제가 의열단장 김원봉에게 무려 100만원(현재 환산 320억원)의 현상금을 걸었을 정도다.

 

임시정부 수장인 김구 선생에게 걸었던 60만원에 비해 어마어마한 현상금으로, 김원봉이 일제에 얼마나 두려운 인물이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분단 상황에서 월북을 선택한 김원봉은 김일성 전 주석의 1인지배 체제 구축과정에서 숙청됐고, 남쪽에서는 월북을 이유로 독립운동 경력이 묻혀 버렸다.

 

김원봉이 남북협상 때인 1948년 월북할 당시만 해도 소련 군정체제 아래의 북한 정권은 김일성 유일지배가 아닌 국내외에서 독립을 위해 싸웠던 소련파와 연안파, 국내파, 남로당파, 김일성의 빨치산파 등 다양한 파벌로 형성된 집단지도 체제였다.

 

항일운동으로 전국적 명성을 떨쳤던 김원봉은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1기 대의원, 초대 내각의 국가검열상에 올랐고, 6·25 전쟁 때는 ‘군사위원회 평북도 전권 대표’와 노동상으로 활동하며 북한 정부의 훈장을 받기도 했다.

 

전쟁 후에도 노동상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그러나 김일성이 소련파와 남로당파 등 정적들을 차례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김원봉도 그 칼날을 피해가지 못하고, 58년 연안파와 함께 숙청됐다.

 

북한의 대남선전 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2015년 10월 게재한 글에서 김원봉이 주도한 광복군에 대해 ‘우파 무장단체’라고 규정하면서 “몇 안 되는 인원을 가지고 ‘일제 패망에 결정적 기여’를 하였고 그것이 조국 해방의 ‘결과’를 안아왔다고 운운한 것은 자화자찬과 미화 분식을 넘어서 완전한 역사 왜곡”이라고 평가절하한 바 있다.

 

김원봉이 숙청 후 어떤 삶을 살았는지는 확인되지 않지만, 우즈베키스탄에 살던 그의 아들이 1994년 반북 인사들과 함께 서울을 찾은 적이 있다.

 

김원봉의 아들인 김로베르트씨는 당시 김일성 정권의 정치적 탄압을 피해 50년대 말과 60년대 초 해외로 망명했던 북한의 전직 고위인사들과 함께 서울에서 열린 ‘북한의 민주화와 인권 회복을 촉구하는 대회’에 참석했다.

 

이처럼 남북한 모두에게 외면받은 김원봉의 불행한 삶은 분단에서 비롯됐다.

 

해방 후 미군정 체제의 남한으로 귀국한 김원봉은 임시정부 김구 주석과 함께 좌우합작을 추진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역시 남북 좌우합작을 위해 활동한 여운형의 암살을 목격하고 친일 경찰의 상징이었던 노덕술에게 검거돼 모욕을 당하기도 했다.

 

김원봉은 이런 혼란스러운 정국에서 신변에 위협을 느끼고 48년 김구를 따라 평양에서 열린 남북협상에 참여한 뒤 북한에 남는 것을 선택했다.

 

역사학자인 전우용은 7일 페이스북에서 “(김원봉은) 김일성 일파의 숙청을 피하여 탈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처형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소개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