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상처 입은 '文중재자 역할'… 金 방남 '안갯속' [뉴스+]

관련이슈 정상회담

입력 : 2019-02-28 19:34:57 수정 : 2019-02-28 19:34:5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文 ‘한반도 운전자’ 자처하며 분투/ 가시적 성과 도출에 한계 드러내/‘신한반도 체제’ 구상 타격 예상
베트남 하노이에서 28일 진행된 ‘세기의 담판’을 가장 마음을 졸이며 지켜봤을 이는 문재인 대통령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8개월 만에 다시 마주 앉기까지 고비마다 서신과 전화통화로, 때로는 직접 만나 ‘중재자 역할’을 자처해왔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하루 공식 일정을 비워 둔 채 하노이 현지 소식에 귀를 기울였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저녁 통화 시간도 점검하는 등 집무실에서 각급 채널을 통해 올라오는 다양한 보고를 받았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숨 죽인 듯 오전부터 현지 생중계되는 방송에 시선이 꽂혔다.

오후 핵담판 결렬 소식이 들어오자 당혹스러운 분위기로 급변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도대체 몇 시간 만에 분위기가 이렇게 바뀌나”라고 안타까워 했다. 다른 관계자는 “오늘 북·미 정상의 판단이 (김 위원장의) 답방 문제 등 이후 전개될 다양한 상황들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9월4일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문 대통령이 북한과 미국, 양쪽을 대표하는 협상가 ‘치프 네고시에이터(Chief Negotiator)’ 역할을 해 달라”고 주문했다. 당시 1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실무협상에서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더디게 진행되는 상황이었다. 문 대통령은 대북특사단을 자신의 친서와 함께 북으로 보냈다. 이어 김 위원장은 대북특사단에 비공개 친서를 보냈고, 이 편지는 다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해져 북·미 두 정상 간 소통의 맥이 끊어지지 않도록 했다.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과 미국 등 다양한 외교채널을 통해 중재 역할을 해온 ‘중재자 역할론’도 상당한 상처를 입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청와대에서 열린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2019년 경제정책방향 안건 보고를 경청하는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문 대통령은 비핵화 논의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을 때인 지난해 10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나 “적어도 북한의 비핵화가 되돌릴 수 없는 단계에 왔다는 판단이 선다면 유엔 제재의 완화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더욱 촉진해야 한다”고 제재 완화의 신호탄을 쏘았다. 유럽 정상들은 ‘시기상조’라고 우려를 표했고, 자유한국당은 “북한의 입장만 대변하다 보면 국제사회와 엇박자가 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반발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남북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기 위한 공동조사를 진행하며 한발짝 앞으로 나아갔다. 또 하노이 회담을 앞두고선 북·미가 마라톤 협상을 벌이고 있을 때 “남북 철도·도로 연결부터 경협 사업까지 떠맡을 각오가 돼 있다”고 남북경협 카드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운전자’를 자처하며 지난해부터 북한과 미국 등 다양한 외교채널을 통해 중재 역할을 해왔지만 2차 정상회담을 가시적인 성과로 끌어내는 데 한계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하노이 선언’에 서명하지 않으면서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론도 작지 않은 상처를 입게 됐다. 김 위원장의 답방은 상당한 시간까지 냉각기가 불가피해졌다.

여권 관계자는 “(북·미 회담 결과가) 예정대로 나왔다면 오늘 이후의 시간은 문 대통령이 주인공이 되는 순간이었다”며 “김 위원장의 답방과 ‘서울 선언’을 통해 항구적인 평화로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준비를 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 이후 3·1절 행사를 통해 공개될 ‘신한반도체제’ 구상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금강산관광 재개 등 경제제재 완화와 함께 남북경협에 우리가 적극 참여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한다는 내용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지난해에 내놓은 ‘남북한 경제통합 분석모형 구축과 성장 효과 분석’ 보고서는 남북경협으로 향후 30년 동안 남과 북에 각각 170조원과 250조원의 경제 효과가 예상된다고 전망한 바 있다.

김달중 기자 d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