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잘못된 관행도 익숙함에 정당화 일쑤 / 제대로 반성해야 실수 되풀이 안 해
인간은 지성과 감정, 그리고 의지의 측면에서 완전하지 않다. 앞날이 어떻게 될지 몰라 불안하고 조그만 일에도 상처를 받으며 계획을 세워도 끝까지 가지 못한다. 반면 신은 모든 것을 다 알고 있기에 불안할 리가 없고 뜻하는 대로 일을 마무리하므로 도중에 그만두는 일이 없다. 그래서 유사 이래로 인간은 신을 통해 자신의 불안을 잠재우려고 했고 인간적 한계를 초월해 신이 되려고 했다.

사람은 사적이나 공적이나 정해진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일을 할 수밖에 없다. 아직 준비가 덜 됐다고 시간을 더 달라고 누구에게 요청할 수도 없다. 따라서 사람이 하는 일에 대해 아무리 완벽을 꾀한다고 하더라도 결국 빈틈이 생기고 허점이 보이게 된다. 그 때문에 인간에게 있어 반성은 숙명이다. 이미 지나간 일이라고 모든 것을 덮어버릴 수가 없고, 그 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돌아보면서 어떤 단계에서 무엇을 잘못했는지 따져보게 된다.

반성(反省)의 한자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서 다시 살펴본다는 의미를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반성의 결과로 책임이 따르게 된다. 그래서 영어에서 책임을 뜻하는 responsibility는 어떤 일에 어떤 식으로 대응하느냐를 나타내는 response와 어원이 같다. 일을 하는 다양한 절차와 과정에서 제대로 판단하지 못해 잘못 대응한 결과로 일이 생각한 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어떻게 대응을 하느냐 여부가 바로 그에 상응하는 책임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철저하게 제대로 반성한다면 우리는 앞으로 이전과 비슷한 일을 할 때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반성은 분명 과거의 나를 대상으로 진행하지만 그 결과 ‘지금의 나’와 ‘미래의 나’가 책임질 일을 줄여줄 수 있다. 반성은 과거에 매몰되는 활동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새롭게 맞이하는 개방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반성을 제대로 하지 않고 그대로 넘어간다면 앞으로 유사한 잘못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 특히 과거에 있었던 일이 국가와 민족에 큰 영향을 주는 일이라면 더 철저하게 반성하지 않을 수가 없다. 나아지리라는 희망을 가지기도 어렵고 잘하리라는 신뢰를 갖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미래에 희망과 신뢰를 가지지 못하는 이유를 알 수가 있다. 반성을 잘 하지 않아서 그렇고, 아무리 반성을 한다고 말하더라도 고쳐지지 않아서 그렇다. 사람은 이성적 동물이라고 하면서 왜 반성이 제대로 그리고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일까.

요즘 오랫동안 쌓여온 폐단을 뜻하는 적폐(積弊)가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학문 용어로 보면 적폐보다 습관과 관행이 더 적절하다. 사람은 반성을 한다고 하더라도 의식되는 대상과 주제를 잘 찾아서 살펴보지 익숙한 삶의 제도를 근원적으로 들여보지 않는다. 익숙함이 편리함으로 여겨지고, 그 편리함이 문제 없음으로 간주되고, 문제 없음이 정당성으로 둔갑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부정청탁의 오랜 관행을 청탁금지법으로 들여다보아 새로운 삶의 틀을 찾아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정치 사회 문화 경제 등 우리 삶의 다양한 영역에 익숙함으로 자신의 모습을 숨기고 있는 잘못된 관행을 찾아내서 공론화하고 미래의 희망과 신뢰를 줄 수 있는 삶의 새로운 문법을 만들어야 한다. 반성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다.

신정근 성균관대 교수·동양철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