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심층기획] 보수 정권 집권하자 ‘진보 영화’ 끊임없이 통제

관련이슈 S 스토리

입력 : 2017-09-03 14:30:57 수정 : 2017-09-03 14:30:5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MB·박근혜정부 시절 ‘긴장 관계’
이명박·박근혜정부 시절 권력과 영화계 사이에는 긴장관계가 조성됐다. 보수집권 현실에 대한 반동으로 영화계에선 진보적인 영화가 나오고, 정권 또한 끊임없이 영화에 대한 통제를 시도했기 때문이다.

영화계 가장 큰 행사인 부산 국제영화제가 치른 홍역이 대표적인 사례다. 2014년 4월 발생한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사진) 상영을 놓고 그해 10월 열린 부산국제영화제는 시련을 겪어야 했다. 보수층 반대 여론 속에 서병수 부산시장이 이를 강력히 반대했다. 그런데도 주최 측은 다이빙벨 상영을 강행했고, 이후 예산을 지원하는 부산시로부터 지도점검을 받아야 했다. 또 당시 서 시장이 이용관 영화제 집행위원장 사퇴를 종용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 같은 흐름은 박근혜정부 문화계 블랙리스트 명단에 배우 송강호 등 영화인이 다수 올라가는 것으로 이어졌다. “다이빙벨의 부산영화제 초청 불허 논란과 광주비엔날레에서 홍성담 작가의 박근혜 대통령 풍자화 전시 불허 파문 등으로 문화예술계의 시국 이슈가 쟁점화되는 상황에서, 반정부적 예술인들을 어떤 식으로든 통제해야 한다는 의도가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게 당시 상황에 대한 관계자 설명이다.

그 결과 영화계에선 2012년 12월 대선 때 문재인 후보 지지선언을 한 배우 정우성, 김혜수, 백윤식, 하지원, 문소리, 김태우, 박해일과 영화감독 박찬욱, 이창동, 김기덕, 장진 등이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 변호인에서 노무현 대통령 역할을 맡았던 송강호씨는 블랙리스트 명단이 폭로된 후 방송에 출연, “소문만으로도 블랙리스트의 효력이 발생한다는 것이 무서운 일이다. 작품을 보며 자기검열을 하게 되고 심리적인 위축이 들게 된다”고 심경을 밝혔다.

국내 영화산업의 중추인 CJ그룹도 이전 정부에서 호된 시련을 겪어야 했다. 당시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이 “대통령의 뜻”이라며 이미경 부회장 퇴진 압력을 수차례 행사했다. 이 같은 일이 벌어진 까닭은 CJ엔터테인먼트가 투자배급한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때문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이 때문인지 CJ가 운영하는 유선방송 채널CGV는 문 대통령 취임 당일에 이 영화를 프라임 타임에 편성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보수정권과 그 지지계층에 호응하는 영화 제작도 이뤄졌다. ‘연평해전’과 ‘국제시장’이 대표적이다. 심지어 고 육영수 여사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퍼스트레이디-그녀에게’와 ‘건국 대통령 이승만(서세원 감독)’ 제작도 추진됐으나 큰 호응을 얻지 못해 무산됐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