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현주의 일상 톡톡] 치열한 중년 지나니 '빈곤한 노년'…노인 절반 가난에 허덕여

입력 : 2017-04-21 05:00:00 수정 : 2017-04-20 09:18:3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국내 가구 6곳 중 1곳은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가구 절반 이상이 노후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요. 특히 65세 이상 노인가구 절반 가량은 빈곤층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가장이 은퇴하지 않은 10곳 중 6곳은 노후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가장이 은퇴한 가구의 60%는 생활비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가구별 자산 양극화 현상도 심각해졌는데요. 고소득층은 대출을 등에 업고 부동산을 투자해 자산을 불려나가고 있었습니다. 고소득층의 자산 증가는 부동산 가격 상승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반면 저소득층은 1~2년마다 전월세로 전전하는 등 주거난에 시달려 대조를 이뤘습니다.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교육비, 자녀 결혼비, 의료비 등 평생 생활고에 찌들어 살다가 가난 속에서 최후를 맞는 취약계층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소득이 증가하는 속도가 빚이 늘어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미래가 불안정하다 보니 가계가 소비를 줄일 수 밖에 없는 형국입니다.
소비자 위축되다 보니 생산이 줄어들고, 생산이 감소함으로 인해 또 다시 소득이 낮아지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국내 전체 가구 절반 이상이 노후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6명 가운데 1명은 빈곤층이며, 65세 이상 노인층의 빈곤율은 절반(46.9%)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 국민들이 노후 준비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었으며, 10명 중 2명(19.3%) 가량은 노후 준비가 전혀 안됐다고 답했다.

2015년 가구당 소득은 4883만원으로, 2.4% 증가하는데 그쳤다.

가계의 평균 소득은 소폭 늘어났지만, 부채 증가율에 비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지난해 12월20일 발표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소득 증가가 둔화한 현실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노인층 빈곤율 46.9%…상당수 국민들 노후준비에 불안감 느껴

2015년 조사대상 가구의 평균 가구소득은 4883만원으로, 2014년(4770만원)보다 113만원(2.4%) 늘었다.

소득에서 세금 등 비소비성 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422만원으로, 2014년에 비해 95만원(2.4%) 증가했다.

가구소득 가운데 근로소득은 3199만원으로 전년 대비 2.2%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1122만원으로 되레 1.7% 감소했다.

가구주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보면 상용근로자 가구가 634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자영업자 가구는 5611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는 2902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4.9%로 가장 많았다.

가계의 소득증가율 2.4%는 전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6% 대비 0.2% 포인트보다 낮은 수준이다.

더욱이 부채 증가율보다 훨씬 낮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 지난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6655만원으로, 1년새 6.4% 증가했다.

다시 말해, 소득 증가율이 부채 증가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빈곤층 소득 정체 여전…가난에서 쉽게 헤어나오기 힘든 사회구조

빈곤층의 소득도 정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년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빈곤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 16.0%로 집계됐다.

전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중위소득의 50% 기준) 기준 빈곤선은 연간 1188만원이며, 특히 노인층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65세 이상 노인층의 빈곤율이 46.9%이고, 은퇴연령층(66세 이상)은 48.1%나 된다. 사회안전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노인 2명 중 1명은 빈곤에 허덕이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노후에 대한 불안감과 직결되고 있다.

지난해 3월 말 기준 조사가구 가운데 은퇴 가구 비율은 16.3%로, 전년(15.1%)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또 예상 은퇴 연령은 66.9세로, 1년 전보다 0.7세 많아졌다.

노후 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생업전선에 뛰어들지만, 청년층조차 일자리를 쉽게 구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 취업문턱을 넘는 게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반해 가구주의 은퇴하지 않은 가구 중 노후 준비가 '아주 잘 되어 있다'(1.3%)와 '잘 되어 있다'(7.5%) 등 긍정적 답변은 8.8%에 그쳤다.

'잘 되어 있지 않다'(37.3%)와 '전혀 되어 있지 않다'(19.3%) 등 부정적 응답은 56.6%로 절반을 넘었다. 게다가 노후준비가 전혀 도어 있지 않다는 응답은 전년 조사 때 17.4%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달리 말해, 은퇴하지 않은 가구 5곳 중 1곳은 노후 준비를 전혀 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부동산 쏠림현상 지속…가격 하락 등 외부 충격 발생시 부채 많은 가계 부담 '高高'

이런 가운데 가계는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비교적 많이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6187만원으로, 전년(3억4685만원)보다 4.3% 늘었다.

금융자산은 9400만원으로 1.2% 늘었고, 실물자산은 2억6788만원으로 5.5% 증가했다. 특히 실물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이 2억5029만원으로 5.8% 많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소득은 거의 정체되어 있는 반면, 물가는 치솟고 실업률은 높아져 서민층의 지갑이 갈수록 얇아지고 있다.
이는 저금리 장기화 등에 따른 부동산 경기 호조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분석된다.

물론 국내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쏠림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앞으로 문제가 될 위험성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향후 부동산 가격이 하락 등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부채가 많은 가계의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는 일부 자산가들에 한정된 것이며, 서민들은 내집마련은 커녕 당장 전세난에 시달리고 있어 부의 양극화가 더 심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