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00년 후 한국의 모습은…인구 반토막 나고, 43%가 노인

입력 : 2016-12-08 12:56:58 수정 : 2016-12-08 12:56:5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5~2065년) 발표
생산가능인구 1242만명…지난해보다 70%↓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100년 후 인구가 현재의 절반 수준인 2581만5000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2015~2065년)'를 보면 현재의 고령화·저출산 추세가 이어진다면 지난해 5101만명이었던 총 인구가 2115년에는 2581만5000명으로 급감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대비 인구가 2519만5000명이나 감소하는 것이다.

15~64세 인구인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폭은 더 가파르다. 올해 3763만명 이었던 생산가능인구는 현재보다 70.0%가 줄어든 1242만6000명으로 예상됐다.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인 총 부양비도 2015년 36.2명에서 107.7명으로 급증했다.

부양해야 할 인구가 많이 늘어난 이유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654만명 이었던 고령 인구는 100년 뒤인 2115년에는 1097만6000명으로 증가했다. 고령인구의 구성비도 12.8%에서 42.5%로 빠르게 상승했다.

반면 703만명 이었던 유소년 인구는 241만3000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인구 구성비도 13.8%에서 9.4%로 급감했다.

통계청은 높은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인 경우, 100년 뒤 총 인구는 3956만8000명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보다 인구가 1144만2000명 줄어드는 것으로 중간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을 유지하는 경우보다 감소 폭이 절반 이상 줄어든다.

생산가능인구도 2027만3000명으로 총 인구의 절반이 넘은 51.2%를 차지했다. 생산가능 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도 95.2명으로 집계됐다.

유소년 인구는 461만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1.7%를 차지했다. 고령 인구는 1467만7000명으로 37.1%를 차지했다.

다만, 낮은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인 경우에는 총인구가 1542만6000명으로 급감한다. 생산가능인구도 665만2000명으로 총 인구의 43.1%에 불과한 것으로 예상했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인구도 131.9명으로 대폭 상승한다.

유소년 인구는 105만5000명으로 총 인구의 6.8%에 불과하며 고령인구는 771만9000명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