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여울의문학기행] 삼중당 문고의 추억

관련이슈 정여울의 문학기행

입력 : 2016-07-21 21:22:58 수정 : 2016-07-21 21:22:5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독서가 기쁨이던 시절 매혹적인 친구
어떤 소유보다 뿌듯한 내면의 포만감
도서관이나 대학교에서 수업을 할 때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가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는가’이다. 그때마다 ‘우선 좋은 독자가 되는 길이 좋은 작가가 되는 지름길’이라는 평범한 진리를 강조한다. 뻔한 대답이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그 이상의 절묘한 이치가 떠오르지 않았다. 그런데 문제는 ‘이론’이 아니라 ‘실천’이다. 책을 잘 읽어야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것은 누구나 아는데 실천이 어려운 것이다. 그 실천의 구체적인 방법을 체득해야 좋은 독자, 즉 좋은 작가 되기의 첫 관문에 도달할 수 있다.

얼마 전 장정일 시인의 ‘삼중당 문고’를 다시 읽다가 섬광처럼 뇌리에 스쳐 지나갔다. 바로 이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거대한 시리즈물을 자나 깨나 시간 날 때마다 때로는 병적으로, 마치 인생을 건 듯이 게걸스럽게 읽어치우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독서비결이구나 싶었다.

정여울 작가
장정일 시인은 ‘삼중당 문고’의 포문을 이렇게 연다. “열다섯 살, 하면 금세 떠오르는 삼중당 문고/150원 했던 삼중당 문고/수업시간에 선생님 몰래, 두터운 교과서 사이에 끼워 읽었던 삼중당 문고/특히 수학시간마다 꺼내 읽은 아슬한 삼중당 문고.” 독서가 은밀한 기쁨이던 시절, 인터넷도 게임기도 없던 청소년에게 최고의 ‘오락기’는 바로 값싼 문고판 세계문학전집이었다. 그다지 예쁜 디자인은 아니지만 파격적인 가격,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높은 휴대성, 무엇보다도 ‘그토록 작은 책에 그토록 많은 이야기가 숨어 있다’는 믿음 때문에 매혹적이었다.

삼중당 문고는 한때 문학청년이었던 모든 이의 가슴속에 애틋한 추억으로 남아 있다. “위장병에 걸려 1년간 휴학할 때 암포젤엠을 먹으며 읽은 삼중당 문고/개미가 사과껍질에 들러붙듯 천천히 핥아먹은 삼중당 문고/간행목록표에 붉은 연필로 읽은 것과 읽지 않은 것을 표시했던 삼중당 문고.” 삼중당 문고는 문학청년에게 ‘아껴먹고 싶은 가장 맛있는 음식’처럼 소중한 이야기 보물창고였다. “급우들이 신기해하는 것을 으쓱거리며 읽었던 삼중당 문고/표지에 현대미술 작품을 많이 사용한 삼중당 문고.” 독서는 바람직한 자긍심의 표현이기도 했다.

좋아하는 작가가 신간을 내면 무조건 서점으로 달려가던 시절의 풍경이 떠오른다. 어른이 돼서도 열혈 독자로서의 초심을 읽지 않은 사람이 끝내 작가가 된다. 이제는 서점에서 살 수 없지만, 마음속 삼중당 문고는 아련한 그리움의 거처가 됐다. 어린 시절 은밀한 쾌락 중 하나는 공부하는 척 참고서를 펴놓고 그 밑에 몰래 소설책을 숨겨놓고 읽는 것이었다. 그중 가장 많이 깔려 있던 책이 바로 삼중당 문고였다.

기말고사가 끝날 때마다 가장 먼저 달려가는 곳은 서점이었다. 서점으로 달려가 그동안 못 읽었던 소설을 잔뜩 읽고 나서, 살뜰히 모은 용돈으로 소설책을 잔뜩 사들고 돌아오며 입시 스트레스를 확 날려버렸던 기억이 생생하다. 나도 모르게 ‘내가 이걸 수집하고 있었구나’ 하고 뒤늦게 깨달은 첫 번째 컬렉션이 삼중당 문고였다. 그 삼중당 문고가 내 마음속에서 ‘영혼의 이스트’가 되어 빵처럼 부풀어 지금의 문학적 감수성으로 자라난 것이 아닐까. 책을 한 권 읽어갈 때마다 ‘내가 아는 세계’가 한 뼘씩 확장되는 느낌, 그것은 어떤 물질적 소유보다 뿌듯한 내면의 포만감이다.

정여울 작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