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둘로 쪼개진 파르테논 신전… 절반은 왜 런던에?

입력 : 2015-10-16 19:49:33 수정 : 2015-10-16 19:50:4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투르크 주재 英 대사가 절반 빼돌려
영국 정부에 6만 파운드에 팔아
크리스토퍼 히친스 등 지음/김영배, 안희정 옮김/시대의창/1만6000원
파르테논 마블스, 조각난 문화유산/크리스토퍼 히친스 등 지음/김영배, 안희정 옮김/시대의창/1만6000원


현재 해외에 유출된 우리나라 문화재는 20개국 16만342점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 있는 게 6만7708점으로 전체의 42%를 차지한다. 일본은 1965년 한일협정으로 1400여점을 반환했는데 이 가운데 국보급 문화재는 2006년과 2011년 각각 돌아온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실의궤’ 등에 불과하다. 2011년 5월 프랑스국립도서관이 영구대여 형식으로 반환한 ‘직지’는 해당 국가(한국)에 있지 않은데도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선정된 유일한 사례다. 프랑스가 반환하기 전에 유네스코에 등재해놓았기 때문이다. 영국 왕립박물관에 있는 ‘세종대왕 측우기’, 일본 덴리대학 중앙도서관에 있는 ‘몽유도원도’, 일본 어딘가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보탑 돌사자’ 3점, 도쿄국립박물관에 뒤집힌 채 보관돼 있던 ‘금산사 향로’, 임금이 쓰는 익선관 등 우리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유명 문화재가 너무도 많다.

뜯겨서 그리스 외부로 유출된 파르테논 신전 조각품 중 신전 동편에 있던 페디먼드 조각.
시대의창 제공
지난 7월 5일 일본의 하시마섬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일본 근대산업의 초석이 된 하시마섬의 탄광에는 일본인 노무자 말고도 조선인 다수가 강제 징용되어 죽도록 노역에 시달린 흔적들이 뚜렷하다. 이런 이유로 하시마는 ‘지옥섬’으로 불린다. 그런데 등재 이유에 조선인이 ‘강제 징용되었다’는 사실은 철저히 은폐되어 있다. 등재 취소 움직임이 이는 등 여론이 들끓고 있다.

현재 유네스코에 등재된 문화재나 문화유산 가운데 상당수는 이른바 약탈문화재다. 영국의 비판적 지식인 크리스토퍼 히친스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소설가 네이딘 고디머 등 공동저자들은 신간 ‘파르테논 마블스, 조각난 문화유산’을 통해 과연 문화재와 세계문화유산의 진실은 무엇이고, 인류는 무엇을 지키고 기려야 하는가를 따져묻는다. ‘서세동점’ 시대 제국주의 열강들이 저지른 약탈 행위을 고발하는 책이다.

고대 그리스 문화의 상징이자 인류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꼽히는 파르테논 신전. 하지만 둘로 쪼개져 영국과 그리스에서 각각 보관되고 있다.
시대의창 제공
‘도둑맞은 파르테논’은 약탈문화재의 대표적인 사례다. 2500년 전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열어준 페리클레스와 천재 조각가 페이디아스에 의해 건설된 파르테논 신전은 이슬람 점령 당시엔 모스크로 쓰였고, 나치 독일 때는 ‘卍’자 깃발이 휘날리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인류의 위대한 건축유산인 파르테논 신전을 가장 악랄하게 약탈하고 훼손한 이는 당시 투르크 주재 영국 대사 엘긴이었다. 그는 파르테논 신전을 분해해 20년간 영국으로 빼돌렸다. 분해된 대리석 조각들은 현재 영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파르테논 신전을 이루고 있는 대리석의 절반 정도 분량이다. 톱으로 대리석을 조각내 영국으로 싣고 가던 상선 멘토르호가 침몰하는 바람에 일부 조각은 바닷속에 수장됐다. 인류의 문화유산인 이 대리석 조각들로 엘긴은 집을 꾸미려 했으나 파산해 영국 재무부와 흥정을 벌인 끝에 6만여 파운드에 팔았다. 이것을 사들인 영국 정부는 합당한 행동을 했는가. 진짜 주인은 따로 있는데 도굴꾼(엘긴)과 장물아비(영국 재무부)가 흥정한 게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저자들은 “지금껏 영국은 그리스의 줄기찬 반환 요구에 말도 안 되는 논리로 거부하고 있다”고 질타한다. 

파르테논 신전의 지붕과 기둥을 연결하는 부분인 ‘프리즈’에 새겨진 10번 판석. 2번 판석을 비롯해 절반 정도가 런던 대영박물관에 보존돼 있다. 나머지 판석들은 유실된 상태다.
시대의창 제공
영국 정부는 현대의 그리스인은 진짜 그리스인이 아니며, 파르테논 신전 대리석 조각들은 대기오염이 심하고 보존 능력이 떨어지는 그리스보다 영국에서 더 안전하고 온전히 보존할 수 있다는 핑계를 대고 있다. 제국주의 시대의 발상이 지금도 온존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고디머는 영국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음침한 변명”이라고 일축한다. “우리가 보유하고 있으니 우리 것이라는 ‘쩨쩨한’ 고집을 버릴 수 있는 길은 법령 하나 만들면 되는 아주 간단한 일이다. 문화유산을 환수하고 복원하는 일은 단지 유형의 가치뿐만 아니라 문화유산을 보유한 인류의 에토스와 역사, 신화, 도덕성, 국민성을 복원하는 일이다.” 저자들은 ‘문화유산을 되찾아 지키는 것’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볼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고디머는 넬슨 만델라가 28년간의 수감생활을 마치고 감옥을 나서며 “나는 네이딘을 만나야 합니다”라고 말해 유명해진 소설가이다.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정책) 철폐 관련 작품으로 1991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히친스는 영국의 바이런, 토머스 하디, 존 키츠, 그리스의 작가 니코스 카잔차키스 등 세계적인 작가들을 인용해 파르테논 신전의 문화적 가치를 복원하면서 반환운동을 계속하고 있다.

정승욱 선임기자 jswoo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