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임진왜란 때다. 명의 부총병 사대수(査大受)가 마산(馬山)에 이르렀다. 마산은 파주 역참마을이다. 길가에 쓰러진 어머니에게 엉금엉금 기어가 젖을 빠는 어린 아이. 차마 눈 뜨고 보기가 힘들었다. 사대수는 사람들에게 아이를 데려가 기르도록 했다고 한다. 아이는 살아남았을까. 그는 유성룡에게 장탄식을 했다. “왜적은 물러나지 않았는데 백성이 이 꼴이니 장차 어떻게 하겠습니까.” 무슨 대답을 하겠는가. 유성룡은 자신이 눈물 흘리는 것조차 미처 깨닫지도 못했다고 했다. ‘징비록’에 나오는 내용이다.

숨진 어머니 젖을 빠는 아이조차 돌볼 여유가 없던 백성들. 왜군이 얼마나 잔혹했으면 그랬을까. 일본으로 실어 나른 남녀노소의 코와 귀는 얼마나 될까. 십만, 백만, 이백만? 알기가 힘들다.

징비록을 제대로 읽지 않았기 때문일까, 조선은 망했다. 1910년 한일병탄. 그 후 또 무슨 일을 벌어졌던가. 전장도 아닌 일본 한복판에서 수많은 조선인은 무참하게 숨져 갔다. 1923년 9월1일 오전 11시58분 일본 관동(關東) 지방을 덮친 지진. 집이 무너지고 불바다를 이루었다고 한다. 사망자 14만2000명, 실종자 3만7000명. 공포는 삽시간에 번졌다. 그런 낭패도 없었을 게다. 민란을 걱정한 걸까, 계엄령을 내리고 각 경찰서에 “조선인이 방화와 폭탄 테러, 강도를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는 공문을 보냈다고 한다. 이어 퍼진 유언비어.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 “조선인이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 누가 퍼뜨린 건가.

학살 유전자가 또 작동한 걸까. 이튿날부터 시작된 대학살. 도쿄, 가나가와, 사이타마, 지바 등지에서 조선인은 죽창과 일본도에 찔려, 곤봉과 철봉에 맞아 스러져 갔다. 어찌 그리도 모질까. 이때 숨진 조선인은 6661명.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 독립신문 특파원이 전한 숫자가 그렇다. 그들뿐일까. 얼마나 희생됐는지는 알 수가 없다. 어린 아이는 널브러진 어머니에게 들러붙어 또 젖을 빨았을까. 그 아이는 살아남았을까.

힘없는 나라 백성의 원혼들, 그들을 위해 눈물 흘려주는 사람은 없었다. 알량한 학살 추모비마저 감추는 사이타마현 혼조시, 교과서에서 학살 흔적을 지우는 일본 정부. 폭력과 살인을 일본 역사의 기둥으로 삼겠다는 것인가. “눈이 부시네 저기/ 난만히 멧등마다/ 그날 스러져 간….” 슬픈 ‘진달래’는 도쿄에서 불러야 할 진혼의 노래다.

강호원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
  • 블랙핑크 로제 '여신의 볼하트'
  • 루셈블 현진 '강렬한 카리스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