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유신체제에 악용된 재일교포 사건들

입력 : 2015-08-07 21:13:44 수정 : 2015-08-07 21:13:4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김효순 지음/서해문집/1만7000원
조국이 버린 사람들/김효순 지음/서해문집/1만7000원


박정희정권이 긴급조치 9호를 발동한 1975년 11월22일 중앙정보부는 “모국 유학생을 가장해 국내 대학에 침투한 재일교포 간첩 일당 21명을 검거했다”고 발표했다. 이른바 ‘11·22 사건’이다. 재일교포 사회는 공포와 충격에 휩싸였다.

‘조국이 버린 사람들’은 2010년부터 재판에 의해 재조명되는 재일교포 간첩사건의 실체를 들춰낸 책이다. 책을 통해 ‘강제연행’이라는 말을 처음 쓴 역사학자 박경식, 26년 만에 한국으로 국적을 바꾼 아쿠다가와상 수상 작가 이회성, 국적 조항의 장벽을 뚫고 첫 재일동포 변호사가 된 김경득 등의 삶이 복원된다. 중앙정보부의 간첩 조작과 성고문을 폭로한 권말자와 고순자, ‘11·22사건’으로 구속돼 법정에서 “경제학도로서 마르크스와 레닌을 존경한다”고 말한 김원중, 2010년 7월 무죄를 선고받아 유학생사건 재심 무죄 1호가 된 이종수도 소개된다. 저자는 “독재체제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거세져 정국이 불안해지거나, 대학가에서 반정부 시위가 활발해질 조짐이 보이면 유학생사건은 마치 주문생산이라도 하듯 어김없이 나타났다”고 지적한다.

1971년 4월 대선 직전 발표된 서승·서준식 형제 사건은 엄청난 사회적 반향을 몰고 왔다. 형제가 함께 구속된 데다 가혹한 고문 의혹이 제기돼 일본 사회에서도 반발이 거셌다.

재일교포 간첩사건은 오랜 기간 국내에서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다. 정보기관이 요란하게 발표한 사건들이 있는 반면 재판 과정이나 선고 내역이 언론에 전혀 보도되지 않은 것들도 적지 않다.

김신성 기자 sski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여신 미소'
  • 최지우 '여신 미소'
  • 이다희 '깜찍한 볼하트'
  • 뉴진스 다니엘 '심쿵 볼하트'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