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아카시아 ‘꽃밥’

관련이슈 설왕설래

입력 : 2015-05-25 21:54:17 수정 : 2015-05-25 22:01:3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가난한 시절 우리의 이야기다. 1970년대 초, 보리가 익어가는 늦봄이었다. 청와대로 한 통의 편지가 날아왔다. 경기도 성남에 사는 주부가 또박또박 적은 애절한 사연이 실려 있었다. ‘여든이 넘은 시어머니를 모시고 세 자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서울역 앞에서 행상을 하던 남편이 교통사고로 눕는 바람에 가족들이 며칠째 굶고 있어요. 저희들이야 굶을 수 있지만 연로하신 시어머니께서 굶는 모습은 차마 볼 수가 없어요.’

편지를 접한 육영수 여사는 비서관을 시켜 그 집에 쌀 한 가마니와 약간의 돈을 주게 했다. 비서관은 한참 달동네를 헤맨 끝에 겨우 집을 찾아 대문 안으로 들어섰다. 가족들은 어두침침한 방 안에 빙 둘러앉아 있었다. 마침 저녁을 먹고 있는 중이었다. 밥상에는 국그릇과 간장종지가 놓여 있었다. 시어머니인 듯한 할머니는 양푼에 수북이 담긴 하얀 쌀밥을 한 숟갈씩 떠먹고 있었다. 비서관은 순간 괘씸한 생각이 들었다. ‘며칠 동안 굶고 있다고 하더니 쌀밥만 먹고 있구먼….’

잠시 후 시야가 밝아지자 비서관은 머리에서 ‘번쩍’ 하는 섬광을 느꼈다. 양푼에 담긴 것은 쌀밥이 아니었다. 아카시아 꽃이었다. 비서관은 청와대로 돌아가서 자세한 사정을 보고했다. 저녁을 먹던 대통령 부부는 수저를 놓은 채 말없이 천장을 응시했다.

거짓말처럼 들리겠지만 불과 한 세대 전만 해도 춘궁기에 아카시아 꽃으로 허기를 달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식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보니 보릿고개는 정말 견디기 힘든 시기였다. 묵은 곡식이 떨어지고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않아 굶어 죽는 사람들이 속출했다. 오죽했으면 세상에서 가장 넘기 힘든 고개가 보릿고개라는 말이 나왔을까.

우리말에는 “밥 먹었니?”, “진지 드셨어요?”라는 표현이 유독 많다. 힘든 보릿고개에 뿌리를 둔 한국식 인사말이다. 거기에는 가장 기본적인 생명유지 활동을 제대로 챙기고 있는지 걱정하는 심정이 담겨 있다. 타인을 향한 따스한 정과 배려가 스며있다. 서양 사람들이 “밥 먹었니?”라는 말을 가장 아름다운 한국어로 꼽은 까닭도 여기에 있다.

아카시아 꽃이 지천인 늦봄이다. 사람들의 살림살이는 선진국 못지않게 풍족해졌다. 밥은 아카시아 꽃처럼 넘치지만 정과 배려라는 ‘영혼의 밥’은 만성 결핍인 세상이다.

배연국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