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금강산도 식후경.” 오래된 속담이다. 다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에 나온다. 일제 때 속담이 아니다. 호사스럽기는 하다. 주린 배를 채우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른 역사, 그것이 우리의 역사 아니던가. 다른 나라라고 달랐을까.

보릿고개, 1970년대까지만 해도 흔했다. 농업 생산력이 떨어지는 과거에는 오죽했으랴.

“보릿고개 험해 태행 넘기 같아라 麥嶺崎嶇似太行/ 천중 지나면 그 고개 나타나니 天中過後始登場/ 누가 한 사발 풋보리죽 끓여 誰將一椀熬靑?/ 주사 대감 맛보라 나눠주리오 分與籌司大監嘗….”

다산이 지은 ‘장기농가’의 한 귀절이다. 천중(天中)은 단오요, 태행(太行)은 허베이∼산시성을 가르는 험준한 산맥이다. 주사(籌司)는 임진왜란 후 2품 이상 정승이 모여 국방을 논하던 비변사의 별칭이다. 바닥난 쌀독, 보릿고개 때 참혹한 실상이 드러난다. 흉년이라도 닥치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이듬해 보릿고개 때 굶주린 수많은 사람은 유랑 길을 떠났다. 다산은 안타까워했다. 그의 실학(實學)은 이로부터 비롯된다.

“임금은 백성을 하늘로 삼고, 백성은 먹을 것을 하늘로 삼는다(王者以民爲天 民以食爲天).” 춘추시대 제나라 재상 관중(管仲)이 한 말이다. 제가 그 생각을 바탕으로 부국강병을 이루었으니 이후 이 말은 동양 역사를 관통하는 정치철학으로 자리 잡았다.

조선의 임금들은 어땠을까. 그 철학을 가슴에 품고 있었다. 흉년을 걱정하며 권농(勸農)에 힘썼다. 순조 33년(1833) 설날, 임금은 권농의 하교를 내렸다. “춘궁이 닥치면 백성이 모두 쓰러질 것이니, 내 이를 두려워해 침식을 편안히 한 적이 없다. … 정사(진대와 환곡)를 극진히 하지 않은 바 없건만 수만명의 백성에게는 한 잔의 물과 수레에 실은 땔나무와 같으니, 이를 어찌 하겠는가.” 말만 해 백성의 굶주림을 풀 수 있는가. 이때는 이미 안동 김씨 세도정치에 싹튼 부패가 조선을 뒤덮었다. 만연한 부패에 먹을 것이 없어지니 민란이 일기 시작했다. 홍경래난도 이때쯤 일어났다. 이듬해 순조는 숨졌다. 백성을 걱정한 다산도 두 해 뒤 숨을 거둔다.

북한이 남한에 친지를 둔 사람에게 쌀, 계란, 기름, 고기를 나눠주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산가족상봉에 앞서 영양 상태를 좋게 하기 위한 것이란다. 이런 물음을 던져본다. 북한에서는 인민이 먹을 것을 하늘로 삼지 않는지….

강호원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