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여행] 하늘서 내려온 석불… 속세를 굽어보네

관련이슈 'W+'여행

입력 : 2015-01-22 18:04:21 수정 : 2015-01-22 18:54:4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또다른 문경 고찰 김룡사와 경천호
성철 스님이 최초로 법문을 한 김룡사
‘붉은 노을이 푸른 바다 꿰뚫는다’는 ‘홍하문’ 글귀 눈길…용맹정진 깨달음 뜻해
대승사에서 묘적암으로 가는 산길 중간에 자리한 사불바위. 지금은 거의 닳아 없어진 마애불이 4개 면에 새겨진 바위로, 그 옆에 서면 백두대간의 연봉들이 물결치는 시원한 조망이 펼쳐진다.
대승사를 찾았다면 이웃한 절집인 김룡사도 그냥 지나칠 수 없을 것 같다. 대승사에서 차로 10분 거리인 김룡사도 1500여년의 내력을 지닌 절집으로, 숱한 설화와 전설 그리고 보물들을 품고 있다. 더불어 정취가 빼어난 암자도 여럿이다.

점촌·함창 나들목에서 나와 대승사로 향해서 가다 보면 김용삼거리에서 길이 갈라지는데 왼편으로 가면 김룡사, 오른편으로 가면 대승사에 닿는다. 김룡사는 대승사가 지어진 이듬해인 588년 운달조사가 창건했으며 처음에는 운봉사라고 불렀다. 훗날 지극한 정성으로 불심을 잃지 않았던 김용이란 사람의 이름을 따서 김룡사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김룡사의 오랜 내력을 보여주는 목조건물.
한자로 ‘金龍’이라고 쓰니 ‘금룡’이라고 읽을 것 같은데, 김룡사라고 부르는 것은 이같은 연유에서다. 성철 스님이 성전암의 문을 열고 나서 대중에게 최초의 법문을 한 곳도 바로 김룡사였다.

몇번의 화재로 중창을 거듭한 김룡사의 전각은 대부분 근래에 다시 지어졌지만, 탱화와 동종 등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 외에도 눈여겨볼 것이 한 둘이 아니다. 

김룡사 대웅전 앞에 서 있는 두꺼비 형상 바위.
우선 색다른 편액이 눈길을 끈다. 절집 입구인 일주문에는 ‘홍하문’(紅霞門)이라는 글이 걸려 있다. ‘붉은 노을이 푸른 바다를 꿰뚫는다(홍하천벽해· 紅霞穿碧海)’는 말에서 따온 것으로, 성철 스님이 평소 즐겨 하던 말이라고 한다. 용맹정진을 통해 얻는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또 다른 사찰이라면 ‘금강문’이라는 현판이 걸릴 만한 전각에 김룡사는 ‘보장문’(寶臟門)이라는 이름이 걸려 있다. 부처님의 무진장한 법보를 찾아가는 문이라는 의미다. 이 두 편액은 모두 독립운동가이자 서예가인 동농 김가진(1846∼1922)의 글씨다. 동농은 안동 봉정사의 ‘천등산 봉정사’를 비롯해 여러 명찰과 고택에 글씨를 남겼다.

김룡사의 명물인 300년된 해우소.
보장문 옆 해우소도 김룡사의 명물이다. 300년 된 목조건물로, 우리나라 절집의 해우소 중 옛 형태가 가장 잘 보존돼 있는 것 중 하나다. 휘어진 나무를 원상태 그대로 기둥으로 삼은 이 고풍스런 건물은 비탈에 서 있어 위에서 보면 1층, 아래서 보면 2층 구조다.

김룡사는 4개의 산중 암자를 품고 있다. 가장 가까이 있는 대성암에 오른다. 짧지만 울창한 전나무 숲길은 운치가 넘친다. 이 자그만한 비구니 암자는 적막감이 들 정도로 조용하다. 절집 마당에 서면 반쯤 얼어붙은 석조에서 떨어지는 약숫물 소리만이 들릴 뿐이다. 

김룡사에서 멀지 않은 경천호는 문경팔경 중 하나로, 맑고 깨끗한 분위기의 산중 호수다. 하늘과 물이 모두 푸른색으로 빛나는 맑은 날 겨울 호수의 풍경은 보는 이의 마음을 더없이 평화롭게 만들어준다.
대승사에서 멀지 않은 동로면에는 ‘문경팔경’ 중 하나인 경천호(慶泉湖)가 있다. 경천호는 낙동강 지류인 금천을 막아서 만든 저수지다. 경북에서 두 번째로 큰 저수지인 경천호는 천주산(835m), 국사봉(728m) 등이 에워싸고 있다. 2013년에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진찍기 좋은 명소로 지정하기도 했던 이 잔잔한 호수는 여러 봉우리들의 그림자가 반영돼 데칼코마니 같은 풍경을 그려낸다. 한겨울 두껍게 얼음이 얼면 빙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눈과 얼음이 절반쯤 덮인 이 겨울 호수는 더없이 맑고 깨끗한 느낌이다. 아침 햇살이 비치는 잔잔한 물 위에서 유유자적하는 철새까지 만날 수 있는 이 호수의 풍경은 평화로움 그 자체다. 

너른 들녘에 홀로 서 있는 내화리 3층석탑.
경천호 근방에는 보물제51호인 내화리 3층석탑이 서 있다. 이 단아한 석탑은 산지가 많은 문경에서 보기 드물게 평지에 들어선 절터에 자리하고 있다. 이 일대에는 원래 신라시대에 창건된 화장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100년쯤 전에 모두 불탔다고 한다. 화장사가 전소된 뒤 불상 등은 대승사로 옮겨가고 이 삼층석탑만 덩그러니 남았다. 

우산 두 개를 맞대 놓은 형상을 한 수령 400년의 대하리 소나무.
내화리 옆 동네인 대하리에서는 수령이 400년인 소나무를 만날 수 있다. 천연기념물 제426호인 대하리 소나무는 가지가 옆으로 자라는 반송으로, 두 개의 우산을 맞대 놓은 듯한 독특한 자태를 보여주고 있다. 

문경=글·사진 박창억 기자 daniel@segye.com

여행정보(지역번호:054)=서울에서 출발한다면 영동고속도로 여주분기점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고 점촌·함창 나들목으로 나온다. 59번 국도를 타고 가다 923번 국도로 갈아타면 대승사에 닿는다. 대승사 주변에는 마땅한 숙소나 식당이 없다. 대승사에서 11㎞쯤 떨어진 곳에 ‘아천교 송어횟집’(553-8584)이 있는데, 송어회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대승사에서 20여㎞ 떨어진 점촌역까지 나와야 한다. 점촌역 앞에는 ‘모텔 올레’(553-4925) 등 모텔급 숙소가 여럿이다. 새재도립공원, 진남교반, 석탄박물관, 레일바이크, 지프라인 등 문경의 명소를 두루 둘러볼 생각이면 문경온천관광지(572-3334, 571-2002)에 숙소를 정하는 게 좋다. 대승사는 문경온천관광지에서 동쪽으로 35㎞쯤 떨어져 있다. 문경의 별미로는 약돌돼지구이를 꼽는다. 약돌(거정석)을 사료에 섞어 먹인 돼지에 고추장 양념을 발라 연탄불에 구웠다. 새재도립공원 앞 ‘새재초곡관’(571-2320), ‘새재할매집’(571-5600)이 널리 알려져 있다. 중앙동의 ‘솔밭식당’(555-4676)은 해장에 그만인 골뱅이국을 잘한다.

<세계섹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