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S 스토리] “팔순 넘긴 미귀환 포로들, 생존 가능성 점점 낮아져”

관련이슈 S 스토리

입력 : 2014-07-26 06:00:00 수정 : 2014-07-26 08:26:4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 연구원 “6·25 참전자들의 나이가 팔순을 넘긴 상황에서 미귀환 국군포로 문제가 60년 동안 방치되다시피 한 상황이 지속되는 것은 비인도적입니다. 북한은 ‘국군포로는 없다’는 태도를 버리고 전향적인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최근 국군포로 문제를 다룬 책 ‘6·25전쟁과 국군포로’를 출간한 조성훈(사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은 25일 “북한의 열악한 생활 실태를 감안하면 80대 중반의 미귀환 국군포로들이 생존해 있을 가능성은 점점 낮아진다”며 국군포로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책에서 조 박사는 미귀환 국군포로 발생 원인을 북한의 포로정책에서 찾는다. 6·25전쟁 발발 1년 후인 1951년 6월 북한군 총사령부는 국군·유엔군 포로가 10만8257명이라고 밝혔지만 실제 귀환한 포로는 1만3000여명에 불과했다.

북한은 국제적십자사에 알리지 않고 상당수의 포로들을 인민군이나 주민으로 편입했다. 조 박사는 포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중국 정부의 역할을 기대했다. 그는 “6·25 당시 중국은 북한과 조중연합사령부·포로관리처를 함께 운영해 포로 규모, 북한군 편입 인원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을 것”이라며 “6·25 참전 당사국으로서 국군포로 문제에 대해 책임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군에 저항하다 총살당하거나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간 국군포로들도 많다”면서 “이들을 먼저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포로수용소에서 북한의 심문에 저항하고 동료를 보살핀 마덴(H R Maden) 호주군 이병, 동료의 탈출을 도운 기본(A H Gibbon) 영국군 대위 등을 참전국에서 기리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이러한 사례를 적극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조 박사는 “미귀환 국군포로의 실태를 가장 잘 아는 북한이 이 문제에 대해 해명할 때”라며 “북한이 국군포로에 대해 ‘전쟁의 희생자’라는 전향적 자세를 취한다면 남북관계 개선에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수찬 세계닷컴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