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자가만난세상] 한 직장인의 개인정보 판매 고백

관련이슈 기자가 만난 세상

입력 : 2014-02-05 21:28:43 수정 : 2014-02-06 09:54:0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2000년 3월 서울의 한 대학교 정문 앞. 새 학년 첫날 등교하는 대학생들 앞으로 판촉사원들이 몰렸다. 그들은 “개강 축하 이벤트에 참여하면 기념품을 증정하고 추첨을 통해 무료로 피부관리를 받을 수 있다”고 학생들을 유혹했다. 학생들 상당수가 2000원짜리 화장도구에 혹해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를 적었다. 그중 99%가 무료 피부관리에 당첨됐다는 전화를 받았다. 이들은 이벤트라는 말 이면에 감춰진 개인정보 제공을 몰랐다.

나도 그중 하나였다. 2010년 어느 날 판촉 전화가 왔다. 정보 출처를 추적하던 중 대학생 때 넘긴 정보라는 것을 알았다. 그동안 가끔 전화가 와도 “관심없다”고 끊었는데 10년 이상 내 정보를 보관한 것이다. 매장이 10년간 살아남은 데 감탄해야 할지, 그동안 같은 전화번호를 쓴 나 자신을 탓해야 할지, 2000원에 산 개인정보로 ‘뽕을 뽑은’ 경제관념에 박수를 보내야 할지 헷갈렸다.

2000년대 초반까지 개인정보 제공은 이런 식이었다. 이벤트를 가장해 연락처와 관련 정보를 적게 했다. 참여자들은 마케팅 활용 여부도 몰랐을뿐더러 신청서에는 정보 제공을 동의하는 체크박스도, 관련 권리 고지도 없었다. 사실상 ‘종신계약’이다.

정진수 경제부 기자
2000년대 중반부터 정보매매가 본격화했다.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사면 영수증과 함께 받은 경품 응모권도 비슷한 형태였다. 경품 응모 자체가 정보 제공 동의라고 생각했는지 동의를 받는 항목은 없었다. 다만 “제공된 정보가 마케팅에 활용된다”는 깨알같은 글씨의 ‘통보’ 항목이 생겼다. 언론에서는 “경품 행사를 가장한 상품 판매가 횡행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초점은 정보 제공보다 ‘소비자 기만’이었다.

비슷한 시기에 인터넷 쇼핑몰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면서 정보 제공은 세련미를 더했다. 결제 직전에는 어김없이 ‘1% 할인쿠폰’, ‘2000원 할인 쿠폰’ 창이 튀어올랐다. 깨알같은 글씨로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다는 고지가 떴다. 정보 제공과 정보 통제권에 대한 인식이 생기기 시작했지만 많은 직장인이 몇천원을 아끼려고 할인쿠폰 받기를 클릭했다. ‘전화 오면 끊으면 되지’라는 안일한 판단에서다.

이후 은행 상품이나 인터넷 사이트 가입 때마다 정보 제공에 동의를 표시해야 했다. 동의하지 않으면 가입조차 안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개인정보 제공·판매·유통은 10년이 넘는 동안 이렇게 지능화했다.

나는 결과적으로 개인정보를 ‘헐값에’ 팔아넘겼다. 화장품회사 판촉행사에 참여하고, 경품에 응모하고, 은행 대출을 받기 위해 정보제공란에 체크했지만 고스란히 정보를 털린 셈이다. 딱 한번 1% 할인쿠폰에 눈이 멀어 정보 제공에 동의하기도 했다. 그렇다고 해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 말할 자격이 없을까. 아니다. 10년이 넘도록, 허가하지 않은 곳까지 정보가 유통된다는 것은 ‘거래 조건’에 없었다. 이것이 개인정보 보호 권리가 존중받지 못하는 데 대해 많은 직장인들이 분노하는 이유다.

정진수 경제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