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겸임·초빙·명예·객원·기금·대우… 감투용 교수 '홍수'

입력 : 2013-07-16 10:37:57 수정 : 2013-07-16 10:37:5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정치·기업인 등 유력 인사, 대학 ‘비전임 모시기’ 경쟁
전임교원 해고 쉽지 않자 법정교원수 채우기 편법도
겸임·초빙·석좌·특임·명예·객원·대우·기금·교환 교수….

바야흐로 ‘교수직 홍수’ 시대다. 전공 분야를 깊이 있게 연구하고 학생을 가르치는 게 본업인 ‘전임교수(교원)’와는 태생부터 다른 온갖 종류의 ‘비전임교수(교원)’가 넘쳐나고 있다. 이들 가운데는 정치·사회·경제적 지위나 배경을 업고 경력관리나 선거출마용, 소일거리 등으로 교수 직함을 갖게 된 사례가 많다. 

채용과 해고 과정이 간편하고, 비용은 적게 들면서 활용 가치가 큰 비전임교수를 활용하려는 대학 측의 이해도 작용한다. 쏟아지는 비전임교수들로 인해 전임교수가 되려는 사람들이 일자리를 빼앗기고, 질 좋은 교육을 받아야 하는 학생들이 피해를 본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김형오(부산대)·박희태(건국대) 전 국회의장과 안대희 전 대법관(건국대), 오세훈 전 서울시장(한양대), 나경원 전 의원(서울대),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가천대), 정동기 전 청와대 민정수석(한양대),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성균관대)은 공통점이 있다. 모두 올해 석좌·초빙·특임 등의 교수 직함을 얻었다. 교수되기는 어렵지 않았다. 대학이 먼저 ‘모셔오려고’ 몸이 단 유력인사들이었기 때문이다.

건국대는 이른바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박 전 의장을 지난 3월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로 임용했다.

건국대 관계자는 15일 “박 전 의장이 건국대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은 데다 학교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해 석좌교수로 손색이 없다고 판단했다”며 “보수는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 전 의장은 임용 이후 한 차례도 강의를 한 적이 없다.

김삼호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비전임교원 임용은 대학이 임의로 하는 데다 관련 임용시스템이 느슨한 게 문제”라며 “선거 출마나 고위직 발탁 등을 위해 경력관리가 필요한 사람의 경우 대학과 이해관계가 맞으면 교수 타이틀을 얻는 게 어렵지 않다”고 지적했다.

실제 세계일보가 네이버 인물검색을 통해 2010년 6월 지방선거 당시 전국 시·군·구 기초단체장 당선자 228명의 주요 경력을 확인한 결과 47명(20.6%)이 모두 65개의 교수 직함을 갖고 있었다. 당선자 5명 중 1명꼴이다. 이들의 교수 직함은 ‘겸임’(37개), ‘초빙’(8개), ‘객원’(6개) 등 무려 62개(95.4%)가 비전임교수였고, ‘전임교수’는 3개에 그쳤다.

부산의 A구청장은 5개 대학의 겸임교수를, 중앙부처 국장 출신인 경북지역 B단체장은 공직에서 떠난 직후 3개 대학에서 맡았던 초빙·겸임교수를 이력에 올렸다. 

내년부터 시간강사를 전임교원으로 인정하고, 해고가 어렵도록 개정된 고등교육법(일명 ‘강사법’)이 시행되는 것도 비전임교수 양산을 부채질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대학들이 강사법 시행 이후 기존 시간강사를 해촉이 자유롭고 교원확보율(전체 교원의 최대 20%까지)에도 반영되는 겸임·초빙교수로 바꿔 채용하는 ‘꼼수’를 부릴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최정표 건국대 교수(경제학)는 “학생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교수’라는 호칭으로 충분하지 앞에 여러 수식어를 붙일 필요가 있겠느냐”며 “초빙이나 특임 같은 수식어를 자꾸 붙이는 건 (대학 측에) 뭔가 속내가 있거나, 가짜(교수)라는 뜻”이라고 비판했다.

이강은·윤지로 기자 ke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