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한민국 '속'을 채우자] ④ 사회적기업 당당한 경제주체로

관련이슈 대한민국 '속'을 채우자

입력 : 2013-07-03 13:37:27 수정 : 2013-07-03 13:37:2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잘 자란 사회적기업·협동조합… 이젠 홀로서기다
행복 버는 ‘착한경제’ 대세
독자적 생존력 확보가 관건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지난 1일 오후 ‘사회적 기업 박람회’가 열리고 있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종합전시장.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박람회는 활기가 넘쳤다. 지난해 70여개이던 참여 기업도 200여개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시민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전시장을 찾은 강영선(33·여)씨는 “알려지지 않은 좋은 일을 하는 사회적 기업이 정말 많다는 걸 오늘 박람회를 보면서 알았다”면서 “이 기업들이 모두 오랫동안 좋은 일을 계속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사회적 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환경보호 등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영리도 추구하는 기업을 말한다.

◆사회적 기업, 새로운 경제모델로 급속히 성장

박람회를 개최할 정도로 사회적 기업은 어느새 경제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장애인을 고용해 쿠키를 만들어 파는 ‘위캔’은 성공적인 사회적 기업의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위캔은 100% 국산 밀과 우유버터, 유정란, 유기농 설탕 등 엄선된 재료로 만든 수제쿠키를 만든다. 판매수익금 전액은 장애인들의 직업재활에 쓰인다. 옥수수 전분으로 친환경 플라스틱 생활용품을 만드는 ‘에코준컴퍼니’는 세계 3대 디자인어워드인 ‘레드닷 디자인어워드’와 ‘iF 디자인어워드’를 수상하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회적 기업의 성장에 힘입어 사회적 기업에 도전하고자 하는 창업가들의 행렬도 줄을 잇고 있다. 사회적 기업 선정 전 단계인 ‘예비 사회적 기업’의 숫자는 지난해 1852개로 2007년의 306개에 비해 6배 이상 늘었다. 특히 경제민주화와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 상생을 강조하는 사회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사회적 기업의 역할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사회적 기업과 함께 상생경제의 또 다른 축이 되고 있는 협동조합 역시 새로운 경제를 추구하는 창업가들의 도전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해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되며 협동조합 설립절차가 간소화한 후 올 들어서 매달 200건 이상의 신고가 이어져 이미 1000여 개의 협동조합이 활동하고 있다. 김기태 협동조합연구소장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지난 15년 동안 개인이 스스로 살아남아야 하고 혼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생각이 사회를 지배했지만 이제는 생존보다는 서로 상생하면서 안정적인 삶을 꾸려가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면서 협동조합이 새로운 경제모델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지속가능한 성장모델 만드는 것이 관건

관건은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이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만들어 자생력을 가질 수 있느냐이다. 단순히 ‘옳은 일’을 하는 것을 넘어서 ‘당당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에 참여하는 기업가와 조합원들의 고민도 계속되고 있다.

일단 사회적 기업은 무난하게 안착하고 있는 모습이다.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으로 인증제가 시작된 후 지난 5월까지 인증된 사회적 기업 877개 중 828개가 운영 중이다. 생존율이 94%에 달한다. 1990년대 후반 붐을 이뤘던 벤처기업의 성공률이 2∼4%였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이들 대다수가 앞으로도 성공적으로 사업을 이어나갈지는 미지수다.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되면 최대 5년까지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이제 본격적으로 정부지원을 ‘졸업’하는 사회적 기업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지원 외에 독자생존력을 확보한 사회적 기업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김종각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본부장은 “현재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 중에서도 손익분기점을 넘긴 곳은 소수에 불과하다”면서 “사회적 기업이 독자적 생존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결국 좀더 경쟁력을 확보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 높이기 등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노력뿐 아니라 품질제고, 신기술개발 등 기업으로서의 노력이 병행돼야 하는 이유다. 현장에서는 이와 함께 정부의 제도적 지원도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종각 본부장은 “사회적 기업들로부터 가장 많이 듣는 애로사항은 판로문제”라면서 “사회적 기업 제품의 공공기관 우선 구매 확대 등 정부와 지자체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협동조합법 시행 이후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협동조합도 마찬가지다. 김기태 소장은 “협동조합 내부적으로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적으로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고 기존 선배 협동조합인들의 지원이나 교육 등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협동조합 모델의 안착을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 소장은 “우리 사회는 이미 70년 가까이 영리기업 중심으로 사회시스템이 세팅돼 있어 협동조합에 대한 사회경제적 제약이 여전히 많다”면서 “이런 부분에 대한 제도적 브레이크를 풀어줄 수 있도록 정치권이나 중앙부처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