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논문 베끼기 횡행… ‘제2의 문대성’ 많다

입력 : 2012-04-23 11:04:43 수정 : 2012-04-23 11:04:4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전문가가 본 학계 표절 실태 문대성 국회의원 당선자(부산 사하 갑) 사건으로 한국 학계의 고질적인 ‘논문 표절 실태’가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만연한 학벌중시 풍조와 유명 인사들에 대한 허술한 ‘학사관리’가 맞물려 논문 표절을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허술한 학사관리가 원인

이번 표절 논란은 체육계에 집중돼 있지만 다른 예체능계도 자유롭지 못하다. 문화예술 시민단체인 ‘예술과 시민사회’는 2008년 미술계의 ‘논문 표절 실태’를 고발했다. 전국 12개 대학 42명이 작성한 논문 45편이 표절로 파악돼 미술계가 혼란에 빠지기도 했다. 같은 해 무용계에서도 학자들이 서로 베낀 논문을 다시 베끼는 등 심각한 표절 의혹 실태가 제기돼 큰 비판을 받았다. 그로부터 4년이 흘렀지만 예체능계의 표절 실태는 달라진 것이 없는 셈이다.

설동훈 전북대 교수(사회학)는 “예체능은 ‘실기’ 위주라는 생각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논문 등 이론에 소홀하게 된다”며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논문 심사에서 표절 논문이 끝까지 통과했다는 것은 심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사회 유명 인사가 학위 과정을 밟을 경우 허술하고 관대한 학사 관리도 문제다. 몇 해 전 서울의 한 대학에서는 특수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현직 국회의원 A씨에게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입학을 허가한 일이 있었다. 특수대학원은 학부 수준이기 때문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진학이 불가능한 것이 관례지만 국회의원이라는 이유로 ‘무사 통과’된 것. A씨의 숙제와 논문은 보좌관들이 대신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립대 교수 B씨는 “유명 인사들은 각종 일정 때문에 출석부터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논문을 제대로 쓴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유명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입학부터 학위까지 쉽게 통과시켜 주는 관행이 만연해 있다”고 말했다.

◆학벌중시 풍토 사라져야

전문가들은 학벌을 중시하는 풍토를 없애고 윤리의식을 높여야 논문 표절을 근절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신현대 홍익대 겸임교수(동양화)는 “미술계는 표절 논란 후 논문 작성 때 ‘스터디 그룹’을 활성화해서 내실을 기하는 등 자정 노력이 있었다”면서 “예체능이 실기 중심이라고 이론에 소홀할 것이 아니라 진정성 있는 공부가 실기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희연 성공회대 교수(사회과학부)는 “학벌 중시 풍토를 폐기하고 실질적 역량을 중시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병주 한국시민윤리학회 회장은 “한국에서는 그동안 논문뿐 아니라 기술 표절, 소프트웨어 복제 등 암묵적으로 불법행위가 용인됐다”면서 “이제는 사회가 발전한 만큼 윤리의식도 새로워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현태 기자 sht9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