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장애상처 되새김질 삶의 양분으로

입력 : 2011-05-10 14:41:32 수정 : 2011-05-10 14:41:3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안학수 시인 자전소설 ‘하늘까지 75센티미터’ 분명 그를 키운 건 6할이 장애였으리라. 하지만 그의 소설을 키운 건 7할이 장애의 상처를 되새김질해 삶의 자양분으로 만들게 한 ‘마음’ 같다. 자신의 생채기를 온전히 다 드러낸다는 건 이런 마음 아니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죽음조차 가깝게 한 상처를 담은 자전적 성장소설 ‘하늘까지 75센티미터’(도서출판 아시아)를 들고 온 척수장애인 안학수(57·사진) 시인의 얘기다. 1993년 대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돼 등단한 이후 ‘박하사탕 한 봉지’ ‘낙지네 개흙 잔치’ ‘부슬비 내리던 장날’ 등의 동시집을 발표한 시인의 첫 장편소설이다.

작가는 이 소설에서 하반신이 마비돼 2년간 방 안에서만 지냈던 기억, 가난으로 정규교육도 받지 못한 아픔, ‘꼽추’라고 놀림당하던 어린 시절 상처 등을 진솔하게 털어놓는다.

“이름을 제대로 불러 주는 아이가 없었다. ‘야, 꼽새’ 하고, 만만한 심심풀이 놀잇감으로 여겨 주먹질이었다. 아무 까닭 없이 갑자기 눈에서 불 나도록 뒤통수를 때리는 아이도 있었다.”(150쪽)

말하지 못한 비밀도 털어놓는다. 지금까지 누나와 놀러 나갔다가 비탈에서 굴러 다친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이웃집 형에게 발길질을 당해 토방 아래로 나뒹군 후 몸이 아프기 시작했다는 것을 밝힌다.

소설은 아픔만을 담고 있진 않다. 고통 끝에 두 발로 서고 다시 걷게 된 얘기, 장애를 딛고 일어서는 과정, 소설가 이문구씨와의 인연으로 시인이 되기까지의 얘기를 통해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다. 제목에 75센티미터가 들어간 이유다. 그는 “먼 하늘이 아닌 팔길이 75㎝, 팔을 뻗어 닿을 만한 곳에 희망이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소설적으로야 할 말이 없지 않을 것이다. 너무 진솔해 “자전적 수기 같은 느낌을 완전히 떨쳐 버릴 수 없다”(박상률 시인)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겨우내 언 땅에서도 시들지 않고 꾹꾹 짓밟힌 후에 더 여물어지는 보리”(‘작가의 말’에서)처럼 진정성이야말로 새 희망을 낳는 씨앗이다. 그가 4일 기자간담회에서 “작가들은 누구나 상처를 안고 있고, 장애도 결국 하나의 아픈 상처 중의 하나”라고 말한 이유다.

금세공 일을 배워 금은방을 운영하기도 했던 그는 2000년 가게를 접고 전업작가로 들어섰다. 충남 보령에서 시인 유용주와 이정록, 소설가 한창훈 등과 함께 구월산 꺽정이패처럼 한 묶음 돼 사는 모습이 정겹다.

김용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